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25 LoL Champions Korea/Road to MSI|Road to MSI]] === ||<-12><tablewidth=4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tablebordercolor=#6454ed,#6454ed><color=#1c192b,#1c192b><nopad>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svg|width=32]]]] '''[[2025 LoL Champions Korea/Road to MSI#s-6|{{{#1c192b Road to MSI 3라운드[br](2025. 06. 13.)}}}]]'''}}} || ||<-12><bgcolor=#888597,#888597> {{{-1 [[사직실내체육관|{{{#white '''사직실내체육관'''}}}]]}}} || ||<-5><width=40%><bgcolor=#000,#000>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aa8a00,#aa8a00 '''Gen.G'''}}}]] ||<|2> '''3''' ||<|2> 2 ||<-5><bgcolor=#f37321,#f37321>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Hanwha Life[br]Esports'''}}}]] || || × || × || ○ || ○ || ○ || ○ || ○ || × || × || × || ||<-5><bgcolor=#222><color=#ddd> '''MSI 1시드 확정''' ||<|2><-2><bgcolor=#6454ed,#6454ed><color=white,white> '''결과''' ||<|2><-5> 최종전 진출 || ||<-5><bgcolor=#e2e2e2> '''EWC 진출 확정''' || 올 시즌에만 벌써 '''6번째 맞대결'''이며, 세 번째 다전제 맞대결이기도한 젠지와의 MSI 1시드 결정전. Bo3에서는 연패를 끊어내지 못했지만 다전제에서만큼은 이번 시즌 6승 무패를 달리고 있는 데다가 작년 서머 결승전을 포함 3연속 3:2 스코어로 승리를 따낸 한화생명이[* 그 과정에서 5꽉의 악마 제카가 다전제 5세트 8연승이라는 대기록도 작성했다.] 약간이나마 우위에 있는 상황. 그러나 정규시즌에서 엄청난 경기력으로 조기에 1-2R 1위를 확정지은데다 1-2R 전승을 거둔 젠지의 기세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에 현 LCK 양대산맥인 두 팀이 어떤 명승부를 보여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 경기에서 승리 시 창단 첫 MSI 진출[* 가장 전력이 좋았던 구 ROX 시절이었던 2016 스프링과 지난 2024 스프링에 진출하지 못했었다.] 및 EWC 출전을 확정짓게 된다. 한화생명이 1, 2세트를 연달아 가져오며 사실상 MSI 1시드는 확정일 것으로 보였으나 제카가 주챔인 요네와 사일러스를 잡고도 최악의 저점을 보여주어 3,4,5세트를 내리 주며 MSI 진출은 최종전에서 결정을 짓게 되었으며 Bo5 연승과 제카의 5세트 연승도 이번 경기에서 깨졌다. ---- ||<-12><tablewidth=4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tablebordercolor=#6454ed,#6454ed><color=#1c192b,#1c192b><nopad>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6454ed, #e2e4f2 45% 55%, #6454ed)"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svg|width=32]]]] '''[[2025 LoL Champions Korea/Road to MSI#s-8|{{{#1c192b Road to MSI 최종전[br](2025. 06. 15.)}}}]]'''}}} || ||<-12><bgcolor=#888597,#888597> {{{-1 [[사직실내체육관|{{{#white '''사직실내체육관'''}}}]]}}} || ||<-5><width=40%><bgcolor=#f37321,#f37321>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Hanwha Life[br]Esports'''}}}]] ||<|2> 0 ||<|2> '''3''' ||<-5><width=40%><bgcolor=#e2012d,#e2012d> [[T1/리그 오브 레전드|{{{#white,#white '''T1'''}}}]] || || × || × || × || - || - || ○ || ○ || ○ || - || - || ||<-5><bgcolor=#e2e2e2> '''EWC 진출 확정'''[* 이 경기에서가 아닌 4라운드 T1 vs KT 전에서 T1의 승리로 확정되었다.] ||<-2><bgcolor=#6454ed,#6454ed><color=white,white> '''결과''' ||<-5><bgcolor=#222><color=#ddd> '''MSI 2시드 확정''' || 4라운드에서 T1이 승리하면서 한화생명의 EWC 진출이 확정되었고, 최종전으로 올라온 T1과 MSI 2시드 진출권을 두고 맞붙게 되었다. 대체로 한화생명의 승리가 점쳐졌으며 비록 지난 3라운드에서 패배했으나 젠지를 상대로 두 세트를 연달아 승리하며 벼랑 끝까지 몰아넣었을 정도로 체급의 건재함을 증명했다. 다만 제카가 최악의 저점을 보였기에 이번 경기에서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지 관건이다. 그러나 경기를 치러보니 충격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매치 7연승을 거두던 T1에게 무려 0:3 셧아웃으로 관광당하였고, 결국 MSI 진출 티켓을 완전히 놓쳐버리고 말았다. --이렇게 된 이상 다같이 청계산 한번 가자-- 한화생명에게 더더욱 암울한 소식은 이 모든 로스터의 계약기간이 올해까지라는 것이다. 만약 이후로도 선수들의 저점으로 롤드컵에 못가거나 롤드컵에서도 좋지못한 성적을 거둔다면 로스터가 공중분해가 될 가능성도 있는 편이다.[* 제우스는 해외 리그 진출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데다 T1과 사이가 틀어져서 LCK 팀들 중에서도 T1 복귀는 불가능한 상황이라 남을 가능성이 높고, 현재 역대급 저점을 보이고 있는 제카 역시도 마땅한 대체 매물이 없어서 울며 겨자먹기로 재계약 가능성이 크지만, 문제는 이를 제외한 포지션들이다. 정작 팀의 브레인인 피넛은 군문제로 올해가 마지막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가장 폼이 준수한 바이퍼는 아무리 한화가 붙잡는다 해도 여전히 LPL의 일부 팀들이 다음 시즌에서 원딜 보강을 최우선 목표로 잡은 만큼 쉽지 않은 편이다. 딜라이트는 여전히 서폿 가뭄 현상 때문에 만약 바이퍼를 놓치게 되면 딜라이트라도 필사적으로 잡을 확률이 높기에 그나마 전망은 괜찮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현재 한화생명은 돈 많은 것으로 유명한 구단인 T1과 머니싸움으로 붙을 수 있는 유일한 팀이라는 강점이 있고, 프런트가 이전처럼 플랜 A만 세우다가 망하는 그런 프런트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2023년을 말아먹자 역시 로스터 공중분해를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제카와 바이퍼를 빠르게 재계약하여 슈퍼팀을 만든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리고 정글은 피넛이 은퇴하더라도 이번 시즌 종료 이후 FA로 풀리는 캐니언, 병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국으로 돌아와야 하는 카나비, LCK 복귀를 고려한 듯한 발언을 한 적이 있는 타잔, 2군에서 경혐치를 쌓고 있는 그리즐리 콜업 등의 대안이 있고, 서폿 역시도 카엘이 있기에 한화 특유의 머니싸움으로 이들 중 한 명씩만 데려와도 슈퍼팀을 다시 만들 수 있기는 하다. ][* 문제는 원딜 영입이 너무나 애매한 상황인데, 상술했듯 바이퍼를 잡으면 좋겠지만 여전히 LPL에서 바이퍼만큼은 계속 예의주시를 하고 있고, 바이퍼를 잡을 경우 카나비는 사실상 선택지에서 지워지는 만큼 정글러 영입에도 애매해진다. 0순위 대안으로 볼 수 있는 페이즈는 kt의 오퍼를 받았음에도 징동을 간 게 전 소속팀 배려였기에 올 가능성이 너무 낮다. 에이밍은 과거 무x, 클xx로 인하여 팀의 단기, 중장기 계획이 빠그라진 전력을 생각하면 폼이 좋고, 좋게 해결되었다 해도 폭탄인 카드라 영입 후보군에서 빠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면 외부서 영입 가능한 네임드가 테디, 아이스, 라헬, 태윤, 하이프, 스매쉬 정도가 끝인데 LCK CUP서 어필한 게 있는 스매쉬와 태윤이 있긴 하지만 스매쉬는 바이퍼를 대체 할 정도의 기량은 아니고 LPL에서 알을 깨고 활약중인 태윤은 LCK 시절 그리 좋지못한 활약을 보였기에 한계가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